국민 4명중 1명..당뇨병이 생길 가능성이 높은 이상 징후/의심 증상
국내 30세 이상 성인의 13.7%가 당뇨병 환자고, 24.8%는 당뇨병 전 단계에 속한다. 즉 국내 30세 이상 성인 약 1300만 명이 당뇨병이나 당뇨병 전 단계에 노출돼있는 것이다. 이렇게 당뇨병 환자가 많은데도 당뇨병에 대해 제대로 모르는 이들이 많다.
당뇨병은 경우 부모 모두 당뇨병이 있으면 자녀가 당뇨병을 갖게 될 확률이 50~60% 이고, 부모 중 한 사람이 당뇨병인 경우 확률이 20~30% 정도라고 한다. 하지만 같은 부모님 아래의 형제-자매 중에도 당뇨병이 생기는 사람이 있고, 생기지 않는 사람이 있다.
유전적인 요인 외에도 환경적인 요인도 당뇨병 발생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대부분의 가장 큰 원인은 비만, 노화, 식생활, 운동부족, 스트레스, 약물, 임신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런 후천적 요인의 당뇨병환자들이 90%이상 차지하고 있다.
당뇨병이 생길 가능성이 높은 경우
-부모, 형제 중에 당뇨병을 가진 사람이 있는 경우
-약물 (당류 코르티코이드 등)을 투약 중인 경우
-평소에 운동을 하지 않는 사람
-이전에 공복혈당장애나 내당능장애를 진단 받았거나 당화혈색소가 5.7% 이상이었던 사람
-임신성 당뇨병이 있었거나 4kg 이상의 아기를 분만한 여성
-혈압이 140/90 mmHg 이상이거나 항 고혈압 약물을 복용 중인 사람
-중성지방이 높거나(> 250 mg/dL) 고밀도콜레스테롤이 낮은(< 35 mg/dL) 사람
-인슐린 저항성(고도 비만, 다낭성난소증후군, 흑색극세포증)이 있는 사람
-심혈관 질환(뇌졸중, 관상동맥질환, 말초혈관질환)을 경험한 사람
당뇨병을 의심해볼 수 있는 증상
-혈당이 올라가고 남아도는 당분이 소변으로 빠져 나가면서 많은 양의 물을 함께 끌고 나갑니다. 이로 인해서 많은 양의 소변을 보게 된다.
-소변 양이 많아지면 우리 몸은 수분이 부족하다고 느껴서 갈증이 생기고 많은 양의 물을 마시게 된다.
-음식을 먹어도 몸 안에서 포도당이 에너지원으로 이용되지 못하고 빠져 나가기 때문에 피로감을 느끼고 체중이 줄게 되며, 자꾸 배가 고파서 음식을 찾게 된다.
-이유 없이 살이 빠지고 항상 무기력하다. 우리 몸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는 포도당이 세포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고 계속 배출되니 어떻게 보면 무기력해지는 것은 당연한 현상.
-당뇨병 환자의 혈액 속에는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 혈액 자체의 점성이 높다. 이 때문에 혈액순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각 세포에 영양과 산소 공급이 되지 않아 손발 떨림 및 저림 현상이 나타난다.
-당뇨가 오면 몸속 혈액의 점도가 높아진다. 이 비정상적인 혈액을 정상으로 되돌리기 위해 몸은 세포 속에서 수분을 빼내온다. 수분이 뺏긴 세포는 생존하지 못하거나 다른 증상으로 위기를 알리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피부 건조 증상이나 가려움증이 유발한다.
*위에서 설명한 여러 가지 증상들은 혈당이 상당히 높은 상태에서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며 혈당이 심하게 높지 않은 사람에서는 아무런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여러 자각증상을 무시해 자신이 당뇨병 환자인지 모르다가 어느 날 갑자기 고혈당으로 쓰러지는 경우도 적지 않다. 따라서 증상이 없다고 해서 당뇨병이 없는 것은 아니므로 45세 이상의 성인에서는 혈당을 체크해 보는 것이 좋다.
당뇨병에 나쁜 음식
당뇨병에 나쁜 음식은 당지수가 높은 음식 (혈당을 빨리 올리는 음식) 들이다. 식빵, 백미, 떡, 우동, 감자튀김, 단팥빵, 과자, 딸기잼 등 탄수화물 함량이 높은 식품, 단포도, 파인애플등 단 맛이 강한 과일, 설탕, 케이크, 도넛, 캐러멜, 사탕등 단당류가 높은 음식 들이다.
당뇨에 좋은 운동과 음식
당뇨병에 가장 좋은 운동은 꾸준히 매일 식후에 30분이상 운동하는 유산소 운동(조깅, 경보, 자전거 타기 등)이다. 공복에 운동하면 저혈당이 올수 있기 때문이다. 허벅지와 엉덩이 근육을 키우면 혈당 기능이 좋아지고 인슐린 작동 효율도 높아진다. 론지 운동이 대표적이다.
당뇨병에 좋은 음식은 당지수가 낮은 음식(혈당을 천천히 올리는 음식)들 이다. 곡류는 흰 쌀, 흰 밀보다는 현미밥, 통밀 빵이 좋다. 해조류, 녹조류, 두유, 아몬드, 땅콩, 콩류, 저지방우유, 달걀, 치즈, 딸기, 아보카도, 토마토,오이, 시금치등 단맛 적은 과일과 채소 등이다.
채소류는 당근, 감자, 호박, 옥수수에 비해 푸른 채소와 버섯이 혈당 지수가 낮다. 음식은 굽는 것보다 삶아 먹도록 한다.